티스토리 뷰

의약품관련

레고티렌정 쑥으로 만든 위장약

정보 공화국 2022. 7. 7. 01:19

레고티렌정

천연성분 소화기관 용약

 

위염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한데 그중에서 스트레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이 클 것이다. 또한 진통제의 복용으로 속이 좋지 않거나 쓰림 증상으로 위장약까지 함께 처방을 받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위염치료제로 처방되는 레고티렌정이란 생약으로 만든 약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징

 

바스칸바이오제약에서 출시한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을 필요로 하며 타원형의 녹색 필름 코팅정이 특징이다. 외관에는 LCB 60이란 식별표기를 가지고 있다.

 

성분과 효능

 

 

애엽 95% 에탄올 연조엑스 60mg을 사용하는데 이는 쑥에서 유효성분만을 추출하여 만든 천연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애엽은 급성 위염, 만성위염으로 인한 출혈, 발적, 부종, 짓무름 등의 개선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복용으로 인한 위염을 예방해 준다.

 

쑥은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빠지지 않는 다양한 치료제였다. 놀다가 넘어져 깨진 무릎에 쑥을 빻아 상처에 올려놔 주면 신기하게도 피가 멈추는 지혈작용을 경험한 분들이 많을 것이다.

 

여성분들의 경우 쑥 삶은 물을 이용하여 좌욕을 하면 생리불순은 물론 냉 분비에 도움을 주기도 하죠. 쑥 자체가 따뜻한 성지를 가지고 있어 여성분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성분이다.

 

특히 레고 티렌정을 만든 쑥의 유효성분인 애엽은 프로스타글란딘이란 세포 보호 물질의 생합성 촉진을 통하여 위 점액 분비는 물론 위벽 세포를 보호해 준다. 뿐만 아니라 글루타티온이란 항산화 해독 성분의 양을 증가시켜 위 스스로 방어를 할 수 있게 함을 물론 회복 촉진을 통한 위점막 보호제라고 보면 되겠다.

 

 

복용방법

 

 

레고티렌정은 하루 세 번 1회 한알씩 복용하면 되지만 유당의 소화력이 떨어지는 분들이 섭취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환자분들 중에서도 레고티렌정을 복용 가능한 대상자가 있는데 혈전 환자, 소비성 응고 장애 환자, (간, 신장, 심장, 폐 등)의 중대 장애 환자, 알레르기 병력자나 증상이 있는 환자는 이 약을 복용하기 전 신중해야 한다.

 

부작용

생약성분으로 만든 의약품인데도 환자에 따라서는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구역질, 식욕부진, 구토, 속 쓰림, 복부 통증, 어지러움, 두통,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천연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도 참고해야 한다.

 

 

주의사항

 

 

레고티렌정을 약 2주 정도 복용하였음에도 위염을 비롯한 증상 개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 지속적 투약을 중지하고 전문가와 상담을 통하여 계속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특히 임산부이 경우 이 약을 복용하는 것이 훨씬 더 이익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 한하여 투약을 권장한다. 이는 수유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여기까지 알아본 레고티렌정은 애엽이란 쑥의 유효성분으로 만든 위장약이나 사람에 따라서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기에 과량 복용하지 말고 정해진 복용방법을 정확하게 준수하시길 바랍니다. 제 글을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며 항상 건강이 최우선이라는 것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스티렌정 이 약의 정확한 설명알아보기

스티렌정 오늘은 생약성분의 급성과 만성 위염치료제인 스티렌정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같은 성분이 약은 에티렌, 오티렌, 넥실렌 등의 약이 있으며, 생약성

youndor.tistory.com

 

오스렌정 쑥잎을 가지고 만든 위장약

오스렌정 쑥잎 추출물 위점막 보호 위장약 오스렌정은 오스코리아제약에서 출시한 전문의약품으로 연두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으로 보험코드는 629700570입니다. 오스렌정은 애엽이라는 천연 성

youndor.tistory.com

 

넥시움정20mg 이 의약품 정확하게 알기!

넥시움정20mg 이 약은 코로나 백신을 개발한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에서 개발한 약으로 역류성 식도염 등의 위 식도 치료제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약은

youndor.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