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큐티스점안액 뻑뻑한 눈 개선

정보 공화국 2023. 12. 30. 00:18

 

겨울철 건조한 날씨는 물론 히터 등의 난방기 사용으로 지속으로 눈 건조하고 안구질환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뻑뻑한 눈 개선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큐티스점안액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성분과 효능

사용방법

주의사항

부자용

 

성분과 효능

 

일반의약품인 큐티스 점안액은 의사의 처방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이 약은 약국마다 가격이 다를 수 있으나 보편적으로 9,000원 ~ 10,000원 정도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무방부제로 안심하고 사용가능한 안약으로 성분은 염화나트륨 5.5mg + 염화칼슘 1.5 gmg을 함유하여 눈의 피로감, 눈의 건조감, 렌즈 착용 하시는 분들이 불쾌감, 눈의 침침함 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옵트클린점안액 가려운 눈 치료

오늘은 옵트클린점안액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약은 결막염이나 다래끼 및 가려운 눈 증상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안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목차 성분과 효능 사용방법 주

youndor.tistory.com

▲만약 이 약이 아니고 각막염 등의 세균 염증성 질환에는 인공눈물 투약으로 개선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개끼나 각막염에는 옵트클린이란 항생제 성분의 점안액을 사용해야 치료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장시간 사용으로 눈이 침침하거나 건조감이 지속되는 경우 큐티스 점안액의 투약을 통해 안구가 촉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사용방법

 

이 안약은 하드렌즈나 소프트렌즈 착용 시에도 사용이 가능한 무방부제 안약입니다. 보편적으로 하루에 5~6회 정도 점안을 하는데 1회 2~3방울 사용으로 충분합니다.

 

다만 이 약은 눈에 통증이 있는 환자, 녹내장 환자, 의사의 별도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 눈의 통증이 심한 환자, 인공눈물을 사용하고 눈에 통증 및 충혈, 가려움, 발진 증상을 경험 한 환자는 사용 전 의사 및 약사와 상담을 한 이후 사용을 권장합니다.

 

 

미드린피점안제 산동 목적이 조절마비제

요즘 아이들은 근시가 많습니다. 유전적인 요소가 있으나 스마트폰의 보급화와 컴퓨터, TV 등 접할 수 있는 매체가 많아진 만큼 눈은 피로하고 그 기능이 떨어질 가능성은 높아졌습니다. 아이들

youndor.tistory.com

△ 참고로 산동 목적을 가진 조절 마비제인 미드린피점안제를 집에 있다고 하여 함부로 눈에 넣지 않도록 절대주의를 해야 하니 꼭 확인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주의사항

이 약은 아래와 같은 주의 사항을 확인하고, 증상 발현 시 사용 중지와 함께 의사나 약사와 상담 시 이 약에 동봉되어 있는 설명서를 반드시 첨부하여야 합니다

 

 

1. 눈의 충혈증상이나 가려움증이 생긴 경우

2. 14일 정도 사용하였음에도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

3. 이 약을 투약하고 나서 침침한 느낌이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

4. 렌즈 착용 환자 중에서 눈에 눈곱이나 분비물등이 지속적으로 생기는 경우

 

부작용

이 약을 최초 사용 시 1~2방울은 세균 감염 위험성을 위해 버리는 것이 현명합니다. 1회용 용기로 된 제품은 어차피 눈에 점안을 하고 남을 정도로 충분한 양이 들어 있습니다.

 

큐티스점안약을 눈에 점안하고 시야 흐림이나 혼탁, 따가운 이상반응 증상이 매번 반복된다면 이 약의 사용을 중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눈에 이 약을 넣으면서 용기의 끝 부분이 안구에 닿지 않도록 반드시 신경을 써야 합니다.

 

여기까지 알아본 방부제 미 첨가된 큐티스점안액과 관련된 제 글이 필요한 분들에게 소중한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른 글 보기

 

네오덱스안연고 이 약의 정확한 설명(항생제연고)

네오덱스안연고(요약) 오늘은 결막염, 안검염 각막염의 치료제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항생제와 스테로이드의 복합성분이라 회복이 빠른 편이나 장기 사용을 하지 권장하지 않는 의약품

youndor.tistory.com

 

댓글